본문 바로가기

카카오 한달적금 만기이자와 실제 이자율

고군분투 2024. 11. 5.

Intro

파킹통장 많이들 사용하시나요? 파킹(Parking) 통장은 만기까지 돈이 묶이는 예금이나 적금을 들자니 부담스럽고, 그렇다고 입출금통장에서 돈을 놀리면 이자를 제대로 받지 못하게 되니 이런 두 가지 조건을 적절히 만족하고자 할 때 사용하죠. 대표적으로 CMA 통장을 많이들 사용하고 계실 겁니다.

통장의 종류에 따라 이자율이 다소 차이가 날 수는 있지만 저희 와이프가 사용하는 CMA통장을 보니, 1,900만 원 정도를 이체시켜 놓고 매일 세후 1,500원 정도의 이자를 받고 있더라고요. 단순 계산으로는 연 2.8% (세전 약 3.3%) 정도의 운용수익률로 이자를 받고 있는 셈입니다. 예적금 이자보다는 훨씬 괜찮은 이자를 받고 있으니 작은 돈을 운용하거나 목돈을 잠시 보관하기에는 꽤 괜찮은 것 같습니다.

저는 돈이 생기면 바로바로 주식을 매수하거나 ETF에 투자해서 현금을 크게 들고 있지는 않은데요. 만일에 대비해서 200여만 원 정도는 입출금통장에 보관해 놓고 있는데, 이것도 그냥 놀리기는 아깝더라고요. 그래서 전 카카오뱅크에서 제공하는 한 달 적금을 적극 이용하는데요, 매일매일 직접 이체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이자율도 괜찮아서 하루도 빼놓지 않고 이체하여 이자를 받고 있습니다.

카카오뱅크_한달적금_이자율과_만기이자_포스팅_표지

 

카카오뱅크 한 달 적금 실제 이자율 & 만기이자

카카오뱅크에서 공시한 이자율은 연 7% 이지만, 실제 받는 이자로 계산해 보면 이에 한참 못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 하루만 7% (31일 동안 빠짐없이 납입했을 경우)를 적용해 주면서 실질적인 이자율이 7%인 것처럼 홍보하는 것은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인 것 같습니다.

우선 만기이자는 세전 2,853원, 이자 420원, 세후 2,433원입니다.

이자율을 계산해 보면, 

총 납입금액은 30,000원 × 31일 = 930,000원이고, 세후 2,433원을 12개월 동안 받으면 총 29,196원이니, 월복리 기준으로 계산하면 대략 3.71% 정도인 것을 알 수 있겠습니다. 

 * 2,433원 × 12개월 ÷ 930,000원 ÷ 0.846 = 3.71%

  - 0.846으로 나눈 이유는 세금(15.4%) 공제 전 이자율을 구하기 위함입니다.

네이버_이자계산_결과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실제이자율 (대략 3.71%)

네이버 이자 계산기로 계산해도 비슷하네요. (959,691-930,000 = 29,691원)

결국에는 최종적으로 단 하루동안만 우대금리를 포함한 금리가 7%라는 얘기지, 전체 예치금에 대해서는 7%가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그럼에도 세전 기준 3.71% 정도의 이자를 받을 수 있고, 한 달 적금 계좌를 1인당 총 3개를 개설할 수 있으니 한 달에 7,299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만기가 1 달이므로 복리효과를 누리지 못하는 게 아쉬울 뿐입니다.

 

혜택을 극대화 하려면?

그래도 하나증권, G마켓 등과 제휴하는 이벤트에 참여하면 무료 주식이나 G마켓 포인트 등을 보너스로 받을 수 있어 엄청난 메리트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24년 11월 현재는 G마켓과 제휴된 한 달 적금을 개설할 수 있는데요.

카카오뱅크_한달적금_with_G마켓_제휴_혜택_내역
카카오뱅크 한달적금 with G마켓 제휴 혜택 내역

31일 중 하루도 빠지지 않고 납입하기만 해도 현금처럼 쓸 수 있는 3,000원 상당의 스마일 포인트와 8,000원 상당의 할인쿠폰(조건부), 스타벅스 쿠폰(조건부) 등 여러 가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11월 30일까지 개설하는 계좌에 한해 혜택이 적용되기 때문에 잊지 않고 미리미리 개설하여 이벤트에 응모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내가 느낀 장점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적은 액수의 돈을 벌면 꼭 해보는 일이 있습니다. '이 돈을 은행에 1년 만기 예금으로 들었을 때, 이자로 받으려면 나는 얼마의 목돈을 예금으로 예치시켜 놓아야 할까?' 하고 생각해 보면서 실제로 계산까지 해봅니다.

115만원_3%_1년_만기_적금_이자계산_결과
115만원 3% 복리 1년 만기 이자율 계산 (세후 이자 : 29,592원)

카카오뱅크 한 달 적금은 세후 29,196원을 받을 수 있으니, 월복리 3% 이자율로 계산해 보면 대략 115만 원을 예금으로 묶어놔야지만 이만큼 (대략 29,592원)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오네요. 

그럼 거꾸로 생각해 보면 내 돈 중 115만 원을 떼내어 예금을 들지 않아도 입출금통장에 있는 돈만으로도 이 정도의 이자를 받았다는 건, 내 돈 115만 원을 다른 곳에 유용하게 투자할 수 있게 되었다는 뜻이 아닐까요?

그런 의미에서 한 달 적금으로 받은 이자는 결코 작지 않아 보입니다.

 

 

총평

자체 광고에서 보이는 것처럼 7%의 이자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종합적으로 봤을 때 오히려 시중은행의 예적금이나 증권사 CMA 통장보다는 훨씬 나은 것 같기도 합니다. 또, 추가 혜택도 받을 수 있고, 위에서 말한 것처럼 목돈 115만 원을 아끼는 효과까지 있으니 입출금통장에서 돈을 놀게 하는 것보다 한 달 적금을 해보시는 게 여러모로 좋을 것 같은데, 여러분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맺음말

댓글